Lecture/miscellaneous

1. 요추추간판 탈출증 (Herniated Disc) = 허리디스크

splendid0116 2020. 5. 6. 10:24

1. 척추의 해부학

척추골은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개로 구성되며, 성인에서는 아래쪽 천추와 미추가 유합되어 각각 하나씩의 천골과 미골로 형성된다. 척추는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증을 하지로 전달하며 성장에 따라 경추와 요추는 전만(lordosis), 흉추는 후만(kyphosis)이 있는 척추만곡을 가지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추 추간판탈출증 (신경학, 2005. 11. 30., 김현집)

 

2. 정의 

척추체와 척추체 사이의 디스크라는 조직이 신경근을 압박하여 나타나는 병.

https://kozyavkin.com/en/science/blog/herniated-disk-in-the-lower-back/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가 탈출된 증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라고 불리지만 디스크는 구조물의 이름일 뿐, 허리디스크에 해당하는 정확한 질환명은 ‘요추추간판탈출증’입니다. 디스크, 즉 추간판은 탄력성이 뛰어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딱딱한 뼈끼리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막아줍니다. 이 디스크가 외부의 큰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나오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신경을 눌러 요통, 방사통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허리디스크라고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허리디스크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3. 증상
섬유륜의 전방은 넓고 두터운 전동인대로 쌓여 있어 추간판탈출증은 잘 일어 나지 않으나 후방은 좁고 엷은 후종인대가 중앙부만 싸고 있기 후측방으로 또는 후중앙으로 탈출되어 인접한 척수와 마미총, 신경근을 압박해 증상을 일으킨다. 측방으로 탈출된 요추 추간판탈출증은 요통과 자극을 받는 신경근에 따라 하지 신경 피부절에 분포하는 하지 방사통이나 감각이상이 발생하게 되며 기침이나 허리 움직임에 따라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운동의 제한이나 근육 강직이나 측만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중앙으로 탈출된 요추 추간판탈출증은 양측 방사통이나 족하수(foot drop)가 발생하며 족관절반사가 소실되며 마미 증후군이 동반되어 배뇨, 배변기능 장애나 회음부 감각저하(saddle anesthesia)가 나타난다.


 

4. 신경학적 검사 

① 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ing test, Lasegue’s test):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편 상태에서 하지를 들어 고관절을 굴곡시키면 좌골 신경이 자극되어 하지에 통증을 일으키는 검사방법으로 약 60° 이하에서 방사통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정하며 4~5번 요추 및 5번 요추-1번 천추 추간판탈출증시 양성으로 나타난다. 통증이 없는 다리를 거상하였을 때 양성으로 나타나면(Peyton’s sign) 진단의 신빙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② 대퇴신경 견인 검사(Reverse leg raising test, femoral stretching test): 환자를 엎드리게 한 후 하지를 뒤로 당겨서 고관절은 신전시키고 슬관절은 굴곡시켜 방사통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정하며 3~4번 요추나 보다 상위의 추간판탈출증시 양성으로 나타난다.

③ 근력저하: 수핵의 탈출로 침범된 신경근이 지배하는 근육의 근력이 약화된다. 제3~4요추 추간판탈출증시 제4요추 신경근이 압박되어 무릎 신전운동의 약화가 오고, 제4~5요추 추간판탈출증시 제5요추 신경근이 압박되어 엄지발가락의 신전운동이 약화되고, 제5요추-제1천추 추간판탈출증시 제1천추 신경근이 압박되어 족관절의 족저굴곡(Plantar flexion)이 약화된다.

④ 감각저하: 제4요추 신경근이 압박되면 하퇴의 전내측 및 발목의 내측에서 감각저하가 생기며 제5요추 신경근이 압박되면 하퇴의 외측, 발등 내측과 엄지발가락의 감각저하가 오며 제1천추 신경근이 압박되면 종아리 및 발등 외측의 감각저하가 온다.

⑤ 심부건반사의 변화: 제4요추 신경근이 압박되면 슬관절반사(knee jerk, patellar reflex)가 감소되고 1천추 신경근이 압박되면 족관절반사(ankle jerk, Achilles tendonreflex) 저하가 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요추 추간판탈출증 (신경학, 2005. 11. 30., 김현집)

 

5. 진단
요추 단순 X-선 소견은 진단적 의미가 적으며 척추분리증이나 전방전위증의 감별에 도움을 준다. 척추조영술(myelography)은 신경근 및 경막이 눌리고 있는 filling defect occluded root sleeve가 보이게 된다. 자기공명영상(MRI)이 비침습적으로 추간판의 변화와 탈출방향을 다양한 방향에서 볼 수 있어 현재 가장 의미 있는 검사법이다.

6. 치료

① 보전적 요법: 발병 초기에는 보전적 치료(안정가료 약물 및 물리치료)가 우선되어 되어 침상안정, 견인치료, 물리치료, 근력강화운동 등으로 4주 내에 80% 정도가 호전된다.

② 수술적 치료: 수술치료의 적응증은 보전적 치료에도 견딜 수 없는 하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재발된 추간판탈출증, 마미총 증후군이나 족하수(foot drop) 같은 신경학적 결손이 있는 경우다.

 

 

 

 

 

 

요추추간판 탈출증은 방산통이 있으면서, 고령이나 청소년이 아니면 제일 먼저 의심합니다.

고령이면 협착증을, 청소년이면 척추분리증을 배제시켜야(rule-out) 합니다.

현재 방산통외에 침해성 통증이 얼마나 전체 통증에 기여하고 있는지도 파악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방사선 검사나 이하학적 검사를 통해 어느 신경근이 압박되었는지도 알아내면 도움이 됩니다.

위의 치료의 핵심에 따라 치료하되,

급성기에는 진통의 요혈과 원위취혈을 중심으로, 만성기에는 근위취혈(관절강, 파셋조인트)와 근육의 균형을 맞추는 치료를 중심으로 시행합니다. 급성기엔 활락탕, 오적산등의 약을 사용하고, 만성기엔 변증에 따라 가미사륙탕, 청파전등의 약을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