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13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는 한약

[1]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는 한약 1 . 금기약 CA Board : 천오, 총백, 봉밀, 부자, 감수, 합개, 호골, 호로파, 호박, 마자인, 백강잠, 유황, 녹각, 서각, 견우자, 전갈,사향,석창포,사군자, 소합향, 단향, 오공, 오령지, 웅담, 주사, 자하거+마황, 목통, 세신, 방기, 위령선, 마두령, 천산갑, 앵속각, 마전자, 밀타승, 웅황, 붕사, 대모, 후조, 심골풍, 경분 FDA : All Insects, All Animals, 마황, 석곡, 육종용, 천마, 노봉방, 세신, 오수유, 천초, 부소맥, 동충하초 2. 독성이 있는 약 부자, 천오, 초오, 백부근, 현호색, 오수유, 익모초, 양금화, 천선자, 마황, 여로, 마전자, 산두근, 고삼, 반변련, 석류피, 앵속각, 대극, 파두,원화, 백..

芳香化濕劑 - 平胃散

(1) 和脾 健胃 胃和 氣平則止 不可常服(方藥合編) (4) 用法 : 水煎服 (5) 效能 - 1) 燥濕運脾 2) 行氣和胃 (6) 主治, 辨證要點 1) 水濕이 脾胃에 滯하여 脘腹이 脹滿하고, 不思飮食, 口淡無味, 嘔吐, 惡心噯氣呑酸, 肢體 沈重, 怠惰嗜臥, 항상 自利 多 2) 舌苔 白膩 厚, 脈象 緩 (7) 君臣佐使 配伍 1) 君, 臣 : 蒼朮, 厚朴 2) 佐, 使 : 陳皮, 生薑, 大棗, 甘草 (8) 加減 1) 食滯 兼 腹脹, 大便秘結 : 加 萊菔子, 大腹皮, 枳殼 (除脹消滯, 下氣通便) 2) 嘔吐 : 加 半夏 (和胃止嘔) 3) 熱象 兼 舌苔黃膩, 口苦, 咽喉乾燥, 渴症이 심하지 않는 경우 : 加 黃芩, 黃連 (燥濕淸熱) 4) 脾胃에 寒濕을 겸하여 脘腹이 脹痛하고 畏寒喜熱 : 加 乾薑, 肉桂 (溫化寒濕) ..

축어탕류 (혈부축어탕, 격하축어탕, 소복축어탕, 신통축어탕)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1. 血府逐瘀湯(治上, 活血逐瘀) 1) 組成 a 桃仁, 紅花, 生地, 牛膝로 活血逐瘀의 힘을 강하게 함 b 柴胡, 枳殼, 桔梗으로 胸脇의 氣滯를 通하게 함 2) 적응증 : 瘀血이 胸部에 정류하여 일으키는 胸痛, 頭痛, 失眠多夢, 心悸怔忡 혹 心痛 및 眼科의 血灌瞳仁, 暴盲으로 血瘀가 오래된 者 2. 膈下逐瘀湯(治中, 活血止痛) 1) 組成 a 活血祛瘀의 桃仁, 紅花, 牧丹皮, 靈脂를 加 b 行氣止痛의 烏藥, 香附子, 枳殼, 延胡를 加 2) 적응증 : 血瘀가 膈下에 정류되어 일으키는 經閉, 腹痛 혹은 瘀血이 굳어져 積을 이룬 痛證, 痛處가 이동하지 않는 증 3. 少腹逐瘀湯(治下, 溫經活血) 1) 組成 a 活血의 沒藥, 蒲黃, 靈脂를 加 b 溫經散寒의 乾薑, 官桂, 小回香을 加 c 止痛..

요통 한약 치료

가미사륙탕, 육미지황탕, 독활기생탕, 신기환 등등에 거풍, 활락, 진통을 위해 오수유, 우슬, 두충, 방풍, 구척, 흑두(서리태)등을 추가합니다. 오수유, 우슬, 두충, 방풍, 구척, 흑두 (서리태)등만 따로 쓰는 것이 청파전입니다. 신허, 혈허등의 허증에는 가미사륙탕, 독활기상탕, 신기환, 육미지황탕 가감을 한습이 많을 때는 오적산 어혈에는 신통축어탕, 활락탕등을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한증엔 오적산, 음허증엔 사륙탕이 많이 사용됩니다. 통치방 : 가미사륙탕 & 오적산 변증활용 빈용 처방 : 독활기생탕, 신기환, 육미지황탕, 사물탕, 십전대보탕, 만금탕 가감약 : 오수유, 우슬, 두충, 방풍, 구척, 흑두(서리태) 등 청파전 요통 처방의 교집합같은 약입니다, 강근골하고 거풍 보간신 하는 주요 약재 5가지..

4. 압박골절 [壓迫骨折 , Compression fracture]

Def. 눌리는 힘(압박력) 때문에 척추뼈의 앞부분에 골절이 생기는 것 추운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 질환 중에 하나가 바로 척추 압박골절(壓迫骨折, compression fracture)이다. 일반적으로 노년층이나 중장년층이 빙판길에서 낙상할 경우에 발생한다. 발생 부위는 척추에서도 움직임이 많아 가장 압력을 많이 받는 요추와 흉추가 만나는 부위에서 발생한다. 흉추와 요추가 만나는 부분은 흉추 후만과 요추 전만이 교차하는 부위로 손상이 일어날 때 외력이 집중되므로 골절 및 탈구의 빈도가 높다. 척추 골절을 일으키는 외력은 축성 압박(axial loading), 굴곡, 측 압박, 굴곡-회전, 전단, 굴곡-신연, 신전력 등이 있는데 이러한 외력은 단독 또는 몇 가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척추를 구조적으로 손상시..

요통 주요 혈자리

병 or 경락을 따라 취혈 - 담경 방광경 간경 신경 etc 아픈 부위의 경락을 따라 취혈 - 임독맥 방광경 담경 etc 진통효과가 강한 혈을 취혈한다 - 동씨 합곡 인중 정근 etc 근육의 경결점을 취혈한다 - 화타협척 경문 etc 아픈 관절을 근위취혈한다 - 요양관 화타협척 etc 변증에 따른 선혈 1. 어혈 - 신통축어탕 태백 태연 SP3, LU9+ 곡지 외관 LI11, SJ5- 2. 신허 - 육미& 독활기생 역할 Majinshui (Horse Gold Water), Makuaishui (Hourse Fast Water) 마금수 마쾌수 LU8, KI 7, 경거 부류 +, KI 3, SP3 태백 태계 + 2-1. 신양허 BL23 신수, BL 40 위중 GV3 요양관 + GV 4 명문 EXTRA 21 ..

3. 척추분리증 [脊椎分離症 , Spondylolysis]

1. 정의 척추분리증(脊椎分離症, Spondylolysis)은 척추뼈 앞과 뒤를 연결하는 협부라는 부위가 분리를 일으킨 질환이다. 척추분리증은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지만, 척추뼈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면서 척추의 모양이 불안정해지는 질환이다. X-RAY 같이 일반적인 검사로도 대부분 확인되며 간혹 불확실할 경우 CT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대부분 허리척추뼈에서 척추분리가 발견되는데 그 중에서도 5번째 허리척추뼈에서 주로 발견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척추분리증 [脊椎分離症, Spondylolysis]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2. 원인 선천적으로 관절간 협부에 결함이 있는 경우나 허리의 외상 및 과격한 운동(체조, 무술, 축구, 레슬링, 다이빙)이 반복되는 경우에 관절간 협부에 ..